목록의사소통능력 (2)
초들님 이야기

‘영어교육 이야기 1’을 통해, ‘우리 아이들은 태어나서 엄마 아빠의 목소리를 듣고 옹알이 등을 거쳐 말하기를 시작했고, 엄마, 아빠, 사과, 바나나 등 주변에 보이는 것의 명칭을 익혀 서너 살쯤 어느 정도의 의사표현이 가능하고 거의 완벽하게 말을 하게 되었으며, 더 나아가 부모나 유치원을 통하여 쓰기와 읽기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활동을 하게 되었고, 정규적인 학교 수업을 받으면서 풍부한 어휘능력과 다양한 언어 표현방법 등 고차원적인 언어활동을 했다.’라고 기술했었다.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우리말을 익혀온 과정처럼 영어교육을 하면 가장 효과적이겠지만, 실제 초등학교 영어교육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성언어를 사용한 의사소통 능력 함양에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교과서 구성에서 놀이 및 활동의 ..
우리는 어릴 때 우리말을 어떻게 익혔을까? 태어나서 엄마아빠의 목소리를 듣고 옹알이 등을 거쳐 말하기를 시작했고, 엄마, 아빠, 사과, 바나나 등 주변에 보이는 것의 명칭을 익혀 서너살쯤 어느 정도의 의사표현이 가능하고 거의 완벽하게 말을 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부모나 유치원을 통하여 쓰기와 읽기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활동을 하게 되었고, 정규적인 학교 수업을 받으면서 풍부한 어휘능력과 다양한 언어 표현방법 등 고차원적인 언어활동을 했다. 학교 영어교육은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갖추고 세계인과 소통하며, 그들의 문화를 알고 우리나라를 세계로 확장시켜 나갈 사람을 길러야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가 영어에 흥미와 관심을 갖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 주도적인 영어학습을 지속할 수 있도록 이끄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